기후위기에 전국 고교 22% `환경` 교과 개설… 전문교사는 고작 `0.02%`
페이지 정보
이인수 작성일21-06-01 20:06본문
↑↑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개회식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경북신문=이인수기자] 2021년 P4G 정상회의 등 기후위기에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사회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환경 교과목 개설과 관련 교육이 활성화되는 분위기지만 정작 전문성을 갖춘 전공 교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부는 내년 고시할 새 교육과정에 생태전환교육을 기초소양의 차원에서 강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 환경교육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계에서는 환경 전공 교사를 증원하거나 최소한 현장교사 연수를 대폭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고등학교 2369개교 중 '환경' 과목이 개설된 곳은 21.9%인 518개교다. 중학교는 전국 3242개교 중 213개교(6.6%)에서 '환경' 교과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선택과목이 개설됐다고 해서 모든 학생들이 '환경' 수업을 듣는 것은 아니다.
중학교는 학교가 선택하는 교양과목군이라 사정이 낫지만, 고교 '환경'은 진로와직업, 보건 등과 함께 보통교과 내 교양과목군으로 분류돼 있다.
정부 방침상 모든 학교에 1명의 진로 상담 교사가 배치된 '진로와직업'에 비해 상황도 열악하다.
환경을 담당하는 고등학교 교사는 전국에 84명으로, 이 중 환경교원 자격을 소지한 전문 교사는 28명에 그친다.
전국 고교 교원 13만2104명 중 환경 전공 교사는 0.02%다. 나머지는 과학 등 다른 인접 교과군을 전공한 '상치교사'다.
교육 당국이 기후위기 등 환경 교육을 강조하는 추세라 일선 학교의 수요는 확대될 전망이다.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청은 기후위기가 청소년들에게 실질적 문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관련 학교 교육 강화에 나서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4월20일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을 통해 생태전환교육을 기존 읽기·쓰기·셈하기(3R)를 넘어선 새로운 기초소양의 성격으로 다루기로 했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현재 시·도교육청 등과 논의 중이다.
교육부는 이미 학교에서 교과목과 함께 가르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의 한 주제로 '환경과 지속가능발전'을 포함했다.
지난 2015년 유엔(UN) 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과 맥을 같이한다.
일선 시·도교육청도 환경교육 확대에 나서고 있다.
서울, 울산, 경남, 제주 등에서 환경교육을 강화하는 중장기 계획을 내놓았다. 청소년 단체에서 요구했던 '채식급식'도 환경교육의 일환으로 서울,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에서 도입이 이뤄졌다.
이처럼 교육계에서 기후위기 교육 강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환경 전공 교사 선발은 이에 따르지 못한다.
지난해 중등임용시험에서 '환경' 교과목으로 처음 정교사 2명을 선발한 서울시교육청은 이들을 특성화고에 배치했다.
올해 기준으로 서울 공립 일반고 117개교 중 31.6%인 37개교에 환경 선택과목이 개설돼 있지만, 이들 학교에 환경을 전공한 교사는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치교사나 시간강사, 기간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 당국은 정작 교원 채용의 측면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환경 교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가 적다며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대신 모든 교과목에서 기후위기 관련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간접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인수 lis6302 @hanmail.net
[경북신문=이인수기자] 2021년 P4G 정상회의 등 기후위기에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사회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환경 교과목 개설과 관련 교육이 활성화되는 분위기지만 정작 전문성을 갖춘 전공 교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부는 내년 고시할 새 교육과정에 생태전환교육을 기초소양의 차원에서 강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 환경교육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계에서는 환경 전공 교사를 증원하거나 최소한 현장교사 연수를 대폭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고등학교 2369개교 중 '환경' 과목이 개설된 곳은 21.9%인 518개교다. 중학교는 전국 3242개교 중 213개교(6.6%)에서 '환경' 교과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선택과목이 개설됐다고 해서 모든 학생들이 '환경' 수업을 듣는 것은 아니다.
중학교는 학교가 선택하는 교양과목군이라 사정이 낫지만, 고교 '환경'은 진로와직업, 보건 등과 함께 보통교과 내 교양과목군으로 분류돼 있다.
정부 방침상 모든 학교에 1명의 진로 상담 교사가 배치된 '진로와직업'에 비해 상황도 열악하다.
환경을 담당하는 고등학교 교사는 전국에 84명으로, 이 중 환경교원 자격을 소지한 전문 교사는 28명에 그친다.
전국 고교 교원 13만2104명 중 환경 전공 교사는 0.02%다. 나머지는 과학 등 다른 인접 교과군을 전공한 '상치교사'다.
교육 당국이 기후위기 등 환경 교육을 강조하는 추세라 일선 학교의 수요는 확대될 전망이다.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청은 기후위기가 청소년들에게 실질적 문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관련 학교 교육 강화에 나서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4월20일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을 통해 생태전환교육을 기존 읽기·쓰기·셈하기(3R)를 넘어선 새로운 기초소양의 성격으로 다루기로 했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현재 시·도교육청 등과 논의 중이다.
교육부는 이미 학교에서 교과목과 함께 가르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의 한 주제로 '환경과 지속가능발전'을 포함했다.
지난 2015년 유엔(UN) 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과 맥을 같이한다.
일선 시·도교육청도 환경교육 확대에 나서고 있다.
서울, 울산, 경남, 제주 등에서 환경교육을 강화하는 중장기 계획을 내놓았다. 청소년 단체에서 요구했던 '채식급식'도 환경교육의 일환으로 서울,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에서 도입이 이뤄졌다.
이처럼 교육계에서 기후위기 교육 강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환경 전공 교사 선발은 이에 따르지 못한다.
지난해 중등임용시험에서 '환경' 교과목으로 처음 정교사 2명을 선발한 서울시교육청은 이들을 특성화고에 배치했다.
올해 기준으로 서울 공립 일반고 117개교 중 31.6%인 37개교에 환경 선택과목이 개설돼 있지만, 이들 학교에 환경을 전공한 교사는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치교사나 시간강사, 기간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 당국은 정작 교원 채용의 측면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환경 교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가 적다며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대신 모든 교과목에서 기후위기 관련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간접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인수 lis6302 @hanmail.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