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해연 유치 어떻게 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북신문 작성일15-07-12 19:13 조회4,98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난달 16일 고리원자력본부의 고리 1호기는 영구 정지키로 결정됐다. 월성원자력본부 월성 1호기는 지난달 23일 발전을 재개했다. 고리원전의 연고지인 부산과 울산은 고리1호기의 폐로를 계기로 정부가 탈원전 정책으로 전환하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월성원전의 연고지인 경주는 지역상생 협력 기금 1천310억원을 지원받으면서 월성1호기의 재가동에 합의했다.
부산과 울산시의 행보는 한 걸음 더 앞서나갔다. 원전해체기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대응방안(후속조치) 수립과 이를 추진할 원자력산업팀을 신설했다. 게다가 이에 앞서 부산 해운대, 기장을 출신 하태경 의원과 울산 울주군 출신 강길부 의원이 '원자력시설 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를 위해 협력할 것을 천명하기도 했다.
경주는 한수원으로부터 지원받은 1천310억원을 양남면, 양북면, 감포읍 등 월성원전 주변지역과 경주시내권에 일정 비율로 나눠 지원키로 했다. 최인접 지역에 110억 원을 배분함에 따라 원전을 바로 끼고 있는 양남면 나아리·나산리, 양북면 봉길리 3개 마을을 특별 배려했다.
'원자력시설 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전은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 듯한 느낌이지만 사실상 부산과 울산은 원해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50년 원자력 해체시장은 세계적으로 1천조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알만한 사람들은 잘 안다. 솔직히 말한다면 경주와 경북이 월성1호기 재가동을 담보로 지원금을 협상할 때 부산과 울산은 더 큰 덩어리를 바라보면서 차분하게 준비하고 있다.
물론 원해연 설립을 두고 각 지역이 과열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이유로 입지 선정을 미루고 있지만 들리는 소문으로는 사업 주체인 미래부와 원전 관련 부처인 산업부의 의견 차이가 더 크다는 얘기도 들린다. 미래부는 '미래'의 블루오션으로 치닫고 있고 산업부는 원전이 가지는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에 골몰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이견이 좁혀지고 나면 원해연 입지 선정은 급물살을 탈 수 있다. 경주가 내세우고 있는 명분은 무엇인가? 방폐장도 받아들였다, 월성1호기 재가동도 합의해줬다, 한수원 본사가 경주에 있다. 그것으로 원해연 유치의 명분이 될 수 있을까? 부산과 울산은 원자력 연관 산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두고 있으면서 갖가지 논리도 개발해 두고 있다. 여기에 지자체는 물론 정치권까지 팔을 걷고 나서서 원해연을 달라고 조르고 이다.
경주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손 놓고 지원금 배분에 대한 고민에 싸여 있을 때가 아니다. 이것이야 말로 우리 어른들 말대로 '노적가리 불 질러 놓고 씨나락 까먹는 일'일지도 모른다.
부산과 울산시의 행보는 한 걸음 더 앞서나갔다. 원전해체기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대응방안(후속조치) 수립과 이를 추진할 원자력산업팀을 신설했다. 게다가 이에 앞서 부산 해운대, 기장을 출신 하태경 의원과 울산 울주군 출신 강길부 의원이 '원자력시설 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를 위해 협력할 것을 천명하기도 했다.
경주는 한수원으로부터 지원받은 1천310억원을 양남면, 양북면, 감포읍 등 월성원전 주변지역과 경주시내권에 일정 비율로 나눠 지원키로 했다. 최인접 지역에 110억 원을 배분함에 따라 원전을 바로 끼고 있는 양남면 나아리·나산리, 양북면 봉길리 3개 마을을 특별 배려했다.
'원자력시설 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전은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 듯한 느낌이지만 사실상 부산과 울산은 원해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50년 원자력 해체시장은 세계적으로 1천조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알만한 사람들은 잘 안다. 솔직히 말한다면 경주와 경북이 월성1호기 재가동을 담보로 지원금을 협상할 때 부산과 울산은 더 큰 덩어리를 바라보면서 차분하게 준비하고 있다.
물론 원해연 설립을 두고 각 지역이 과열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이유로 입지 선정을 미루고 있지만 들리는 소문으로는 사업 주체인 미래부와 원전 관련 부처인 산업부의 의견 차이가 더 크다는 얘기도 들린다. 미래부는 '미래'의 블루오션으로 치닫고 있고 산업부는 원전이 가지는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에 골몰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이견이 좁혀지고 나면 원해연 입지 선정은 급물살을 탈 수 있다. 경주가 내세우고 있는 명분은 무엇인가? 방폐장도 받아들였다, 월성1호기 재가동도 합의해줬다, 한수원 본사가 경주에 있다. 그것으로 원해연 유치의 명분이 될 수 있을까? 부산과 울산은 원자력 연관 산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두고 있으면서 갖가지 논리도 개발해 두고 있다. 여기에 지자체는 물론 정치권까지 팔을 걷고 나서서 원해연을 달라고 조르고 이다.
경주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손 놓고 지원금 배분에 대한 고민에 싸여 있을 때가 아니다. 이것이야 말로 우리 어른들 말대로 '노적가리 불 질러 놓고 씨나락 까먹는 일'일지도 모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