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 지자체 소멸위험 심각한 수준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북신문 작성일19-11-28 18:41 조회6,47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가 줄면서 전국 시·군·구 중 42%가 소멸위험지역으로 전락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에 따르면 올해 10월(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97개로 전체의 42.5%를 차지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해당 지역의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수치다. 가파른 증가세를 고려하면 연말이나 내년 초 100곳을 넘어설 것이란 우울한 전망도 나왔다. 2013년 75개에서 지난해 89개로 5년간 연평균 2.8개씩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8개가 늘어 증가 속도가 2.8배 빨라졌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 구성원이자 미래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칠 가임 여성 인구가 고령인구 절반에 못 미치는 0.5 미만일 때를 '소멸 위험' 수준으로 분류했다. 인구 재생산 주기를 고려할 때 사실상 해당 공동체 인구 기반은 붕괴하고 사회경제적 기능을 상실한다는 의미다. 경북은 이미 지난해 포항시와 구미시, 경산시, 칠곡군을 제외한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
올해 군위, 의성, 청송, 영양, 청도, 봉화 등 6곳은 지방소멸위험지수 최저 시군구 10곳에 포함됐다. 이 6곳은 소멸위험이 가장높은 지역이다. 전국 10곳에 경북이 6곳이나 포함된 것은 그 만큼 경북의 소멸위험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의성은 6년 연속 소멸 위험 지역 전국1위 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가지게 됐다. 가임여성의 전출로 저출산이 장기간 지속 됐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경북도도 광역시·도 중 전남 다음으로 소멸위험이 큰 지역으로 분류됐다. 18개 시·도 중 전남이 0.44로 가장 낮아 유일하게 소멸 위험 지역으로 조사됐다. 경북은 현재 0.501로 연말 소멸 위험 단계 진입이 예상된다는 반갑지 않은 전망이다.
이미 경북도내 시·군마다 인구지키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저출산, 고령화에 이어 탈 농촌으로 인해 떠나는 사람은 증가추세다. 10년, 20년 뒤엔 상황은 정말 소멸에 가까울지 모른다.
인구감소로 존립위기를 느낀 지자체마다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인구 1만 7천명선 붕괴가 우려되는 영양군은 인구증대 필요성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범군민운동을 다짐하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지자체 혼자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저출산 현상은 이미 국가적 현안이 되었지만 뚜렷한 해법이 없는 지경이다. 전문가의 지적대로 중앙과 지방간, 지자체간 상호협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에 따르면 올해 10월(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97개로 전체의 42.5%를 차지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해당 지역의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수치다. 가파른 증가세를 고려하면 연말이나 내년 초 100곳을 넘어설 것이란 우울한 전망도 나왔다. 2013년 75개에서 지난해 89개로 5년간 연평균 2.8개씩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8개가 늘어 증가 속도가 2.8배 빨라졌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 구성원이자 미래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칠 가임 여성 인구가 고령인구 절반에 못 미치는 0.5 미만일 때를 '소멸 위험' 수준으로 분류했다. 인구 재생산 주기를 고려할 때 사실상 해당 공동체 인구 기반은 붕괴하고 사회경제적 기능을 상실한다는 의미다. 경북은 이미 지난해 포항시와 구미시, 경산시, 칠곡군을 제외한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
올해 군위, 의성, 청송, 영양, 청도, 봉화 등 6곳은 지방소멸위험지수 최저 시군구 10곳에 포함됐다. 이 6곳은 소멸위험이 가장높은 지역이다. 전국 10곳에 경북이 6곳이나 포함된 것은 그 만큼 경북의 소멸위험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의성은 6년 연속 소멸 위험 지역 전국1위 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가지게 됐다. 가임여성의 전출로 저출산이 장기간 지속 됐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경북도도 광역시·도 중 전남 다음으로 소멸위험이 큰 지역으로 분류됐다. 18개 시·도 중 전남이 0.44로 가장 낮아 유일하게 소멸 위험 지역으로 조사됐다. 경북은 현재 0.501로 연말 소멸 위험 단계 진입이 예상된다는 반갑지 않은 전망이다.
이미 경북도내 시·군마다 인구지키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저출산, 고령화에 이어 탈 농촌으로 인해 떠나는 사람은 증가추세다. 10년, 20년 뒤엔 상황은 정말 소멸에 가까울지 모른다.
인구감소로 존립위기를 느낀 지자체마다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인구 1만 7천명선 붕괴가 우려되는 영양군은 인구증대 필요성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범군민운동을 다짐하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지자체 혼자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저출산 현상은 이미 국가적 현안이 되었지만 뚜렷한 해법이 없는 지경이다. 전문가의 지적대로 중앙과 지방간, 지자체간 상호협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